매봉산 (강남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봉산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산이다. 도곡동은 매봉산 자락에 돌이 많아 '독부리'로 불리던 곳에서 유래했다. 우면산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양재사거리를 지나 매봉산의 봉우리를 형성하며, 지하철 3호선 매봉역과 도곡역이 인접해 있다. 도곡동 일대는 구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를 거쳐 백제,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민족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역삼 청동기 수혈거주지가 위치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에 속했으며, 매봉산 중턱의 동제당은 마을의 명소로 여겨진다. 주변에는 롯데백화점, 강남세브란스병원 등의 편의시설과 양재천, 우면산, 구룡산 등의 자연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도곡동은 매봉산 자락에 돌이 많아 '독부리'라 불리던 곳이 '독구리', '독골'이라는 이름을 거쳐 오늘날의 '도곡동'이 되었다. 동쪽은 대치동, 서쪽은 역삼동, 남쪽은 양재동·포이동, 북쪽은 삼성동과 이웃하고 있다. 지하철 3호선 매봉역과 도곡역이 지난다.[1][2] 우면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양재사거리 낮은 언덕을 지나 강남구 도곡동에서 매봉산의 88m와 95m 봉우리를 형성한다.[1][2]
강남구 일대는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한강변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반도 선사문화의 중심부에 해당되며, 그 유적의 일부를 도곡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7~4세기경 청동기인들의 거주지로 밝혀진 역삼 청동기 수혈거주지가 현 도곡동 산 32-1에 자리하고 있다.[1] 이후 백제의 수도,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도곡동은 매봉산 자락에 돌이 많아 '독부리'라 불리던 곳이 '독구리', '독골'이라는 이름을 거쳐 오늘날의 도곡동이 되었다. 동쪽은 대치동, 서쪽은 역삼동, 남쪽은 양재동과 포이동, 북쪽은 삼성동과 이웃하고 있다. 지하철 3호선 매봉역과 도곡역이 지난다.[1][2] 우면산에서 동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양재사거리 낮은 언덕을 지나 강남구 도곡동에서 매봉산의 88m와 95m 봉우리를 형성한다.[1][2]
[1]
서적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2. 지리적 위치 및 특징
3. 역사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에 속했다. 강남구 도곡동 역마을과 독구리마을 사이, 높이 약 100m의 매봉산 중턱에 있는 동제당(洞祭堂)은 토박이 주민들이 애착을 갖는 동네 명소이다. 이 마을에서는 동신을 산신이라 부르며, 동제사를 지내면 풍년이 들고 천재지변이 예방된다는 믿음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산에 제사 지내러 가기 귀찮다며 동네에서 가까운 곳으로 동제당을 옮기자 우환이 끊이지 않아 원래 위치로 돌려보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특히 독구리 마을은 조선시대 한양으로 들어가는 중간에 있는 마을로, 지금의 말죽거리와 매봉산 사이에 오솔길이 있었는데 이 길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한양에 들어가기 전에 잠깐 쉬는 마을이었다고 한다.
느티나무 뒤쪽에서는 김의신(金義信)이라는 효자를 기리기 위한 작은 비석을 찾아볼 수 있다. 김의신은 40세 때 병석에 누운 아버지의 병을 고치려 했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하루는 뒷산 느티나무 밑에서 아버지 병을 낫게 해달라고 백일기도를 하던 중 꿈에 백발노인으로 변장한 산신이 나타나 “허벅지살을 고아 먹으면 쾌유하게 될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김의신이 자기 허벅지살을 베어 고아 만든 약을 드신 아버지는 씻은 듯이 나았다. 병이 완쾌된 후 천수를 다하고 돌아가신 아버지 묘 앞에서 김의신이 3년 동안 움막을 치고 기거하면서 슬퍼하므로, 마을 사람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효자비를 세웠다고 전해진다.[1][3]
3. 1. 선사 시대
강남구 일대는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한강변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반도 선사문화의 중심부에 해당되며, 그 유적의 일부를 도곡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7~4세기경 청동기인들의 거주지로 밝혀진 역삼 청동기 수혈거주지가 현 도곡동 산 32-1에 자리하고 있다.[1] 이후 백제의 수도,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3. 2. 조선 시대
강남구 일대는 구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강변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반도 선사문화의 중심부에 해당되는데, 그 유적의 일부를 도곡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원전 7~4세기경 청동기인들의 거주지로 밝혀진 역삼 청동기 수혈거주지가 현재 도곡동 산 32-1에 자리하고 있다. 이후 백제의 수도, 고려, 조선시대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에 속해 있었는데, 강남구 도곡동 역마을과 독구리마을 사이의 높이 약 100m의 매봉산 중턱에 있는 동제당(洞祭堂)은 지금도 토박이 주민들이 애착을 갖고 돌보는 동네 명소이다. 이 마을에서는 동신을 산신이라 부르고 있으며, 동제사를 지내면 풍년이 들고 천재지변이 예방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산에 제사 지내러 가기 귀찮다며 동네에서 가까운 곳으로 동제당을 옮기자 우환이 끊이지 않아 원래 위치로 돌려보냈다는 이야기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특히 독구리 마을은 조선시대 한양으로 들어가는 중간에 있는 마을로, 지금의 말죽거리와 매봉산 사이에 오솔길이 있었는데 이 길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한양에 들어가기 전에 잠깐 쉬는 마을이었다고 한다.
또한 느티나무 뒤쪽으로는 작은 비석을 찾아볼 수 있는데,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김의신(金義信)이라는 효자를 기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김의신은 40세 때 병석에 눕게 된 아버지의 병을 고치려 무척 애를 썼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하루는 뒷산 느티나무 밑에서 아버지 병을 낫게 해달라고 백일기도를 하던 중 꿈에 백발노인으로 변장한 산신이 나타나 “너희 아비의 병이 나으려면 한 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렇게 하기 쉽지 않은데 할 수 있겠느냐?” 하고 물었다.
이때 김의신은 “산신령님, 꼭 그렇게 하겠으니 일러만 주십시오.”하고 간곡히 청했다. 그러자 산신령은 “사람의 허벅지살을 고아 먹으면 쾌유하게 될 것이니라.”하고는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정신을 차린 김의신이 자기 허벅지살을 베어 고아 만든 약을 드신 아버지는 씻은 듯이 나았다. 병이 완쾌된 후 천수를 다하고 돌아가신 아버지 묘 앞에서 김의신이 3년 동안 움막을 치고 기거하면서 슬퍼하므로, 이를 가상히 여긴 마을 사람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효자비를 세웠다고 전해진다.[1][3]
3. 3. 현대
1970년대 이전까지 매봉산 인근의 도곡동은 도라지, 오이, 참외 등이 재배되는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다. 오늘날의 도곡동은 롯데백화점, 강남세브란스병원 등 생활 편의 시설이 자리 잡고 있고, 남쪽에 양재천이 흐르며 등산하기에 적합한 우면산, 구룡산 등이 가까워 자연환경 측면에서도 각광받는 지역으로 선호된다.[1]
4. 주변 환경
매봉산 인근의 행정단위인 도곡동은 1970년대 이전까지는 도라지, 오이, 참외 등이 재배되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었다. 오늘날의 도곡동은 롯데백화점, 강남세브란스병원 등 생활편의시설이 자리잡고 있고, 남쪽에 양재천, 등산하기에 적합한 우면산, 구룡산 등이 가까워 자연환경 측면에서도 각광받는 지역으로 선호된다.
참조
[1]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2]
웹사이트
한국관광공사 관광명소안내
http://korean.visitk[...]
[3]
뉴스
서울시 동네 명소 6백곳 선정작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네이버)
1994-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